NOTICE(1023)
-
[부고] 경상북도 안동시청 박혁준 선생님 부친상
삼가 알려드립니다.협회 회원 박혁준 선생님 부친께서 별세하셨습니다.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빈소 : 서울 보라매병원 장례식장 4호실발인 : 2017년 8월 23일 (수)
2017.08.21 -
4.16 기억저장소 기록관리팀 정규직 채용
4.16 기억저장소 기록관리팀에서 함께 일할 기록연구사를 모집합니다. 1. 모집일시 : 2017.08.07 ~ 08.312. 모집인원 : 1명3. 근무지 :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화랑유원지 내 (4호선 초지역에서 도보 10분 이내)4. 근무시간 : 월~금, 09:30~18:305. 업무내용 : 4.16관련 일반기록 및 추모기록 수집, 분류 정리, 활용 등 기록관리 업무6. 급여 : 170만원 (신입의 경우 3개월 수습기간)7. 근무형태 : 정규직8. 제출서류 : 이력서 (나머지 서류는 차후 요청)9. 제출할 곳 : 416archives@gmail.com 전 화 : 031-410-0416 / 팩스 031-410-0417홈페이지 : http://www.416memory.org페이스북 : http://www...
2017.08.08 -
[채용공고]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장(경력개방형 직위) 공개모집
인사혁신처에서 경력개방형 직위로 지정된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장을 공개모집합니다. 1. 임용예정직위 및 인원 :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장(1명) 2. 지원자격 : 공고문의 응시자격 요건을 갖춘 민간인 ※ 최종시험일 현재 국공립 대학의 교원을 제외한 공무원은 응시 불가 3. 응시원서 접수 ㅇ 접수기간 : 2017. 8. 1(화) - 8. 16(수) 18:00까지 *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 혹은 첨부파일을 참고해주십시오.(링크 : http://me2.do/xeY3os9J)
2017.08.01 -
‘청와대 캐비닛 문서’ 관련 기록관리·정보공개 전문가 단체 기자회견문
[‘청와대 캐비닛 문서’ 관련 기록관리·정보공개 전문가 단체 기자회견문] 지금이야말로 기록으로 진실을 밝힐 때다 연일 청와대에서 이른바 ‘캐비닛 문서’가 발견되면서, 다시 대통령기록을 둘러싼 부정확한 정보와 오해가 확산되고 있다. 우리는 오늘 이로 인한 사회적 혼란이 지속되는 것을 막고자 이 자리에 섰다. 이것이 전문가단체의 사명이라 믿기 때문이다. 기록은, 그리고 대통령기록은 진실을 밝히는 수단이다. 기록은 당대에는 책임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후대에는 우리 시대를 증거하는 기록 유산으로 전승될 것이다. 애초에 대통령 지정기록 제도는 일정 기간 기록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한이 있더라도 중요한 기록을 남기게 하고자 하는 취지로 제정되었다. 국정농단 사태를 막고 그 전모를 밝히라는 국민의 요..
2017.07.19 -
[채용공고] 정규직 시간선택제(기록물관리)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에너지공단에서는 정규직 시간선택제로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을 채용합니다.○ 채용인원 : 총 2명 ○ 채용분야 : 기록물관리 ○ 전형절차 : 서류전형 - 필기전형 - 면접전형 - 최종합격자발표 ○ 채용정보 안내 사이트 : https://energy.scout.co.kr/jobinfo/jobinfo_view.asp?ID=1029 ○ 지원서접수기간 : 2017년 7월 19일(수) 10:00 ~ 7월 26일(수) 15:00까지 * 자세한 사항은 아래 첨부파일을 참고해 주십시오.
2017.07.17 -
[기록관리,정보공개 단체 공동 성명서] 국가기록원장 직위의 민간전문직 개방은 정상화의 시작일 뿐이다
[기록관리․정보공개 단체 공동 성명서] 국가기록원장 직위의 민간전문직 개방은 정상화의 시작일 뿐이다 우리 사회의 다른 많은 분야에서와 같이, 기록과 관련하여 지난 9년간 벌어진 비정상의 목록도 결코 짧지 않다. 큰 사건만 추려도 2008년 이른바 ‘봉하유출’과 관련하여 국가기록원이 노 전 대통령의 비서진을 고발한 사건, 2012년 대선 직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공개 사건, 2016년 박근혜 대통령기록 무단폐기 사건, 지난 3월 탄핵 이후 대통령기록 지정권한 위임과 봉인 조치, 그리고 기록 블랙리스트 논란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 모든 일의 중심에 국가기록원이 있었다. 기록과 관련한 사회적 혼란이 발생했을 때 국가기록원이 전문기관으로 기능한 적이 없었다. 시의적절한 유권해석으로 논의를 올바른 방향으로..
2017.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