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 및 협력(217)
-
[공지] 정부산하공공기관 기록관리를 말하다
정부산하공공기관의 기록관리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는 모임 공지 입니다. 참가신청 링크 (정부산하 공공기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모임)
2013.06.07 -
[국회토론회 개최] ‘이명박 정부 5년 기록관리 퇴행과 새 정부의 과제- 대통령 기록물을 중심으로’
안녕하세요 한국기록전문가협회 입니다.2012년 11월 13일(화) ‘이명박 정부 5년 기록관리 퇴행과 새 정부의 과제- 대통령 기록물을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국회 토론회가 개최됩니다.기록학계 기록인 여러분들의 많은 참석 부탁드립니다.■ 전체주제 : ‘이명박 정부 5년 기록관리 퇴행과 새 정부의 과제- 대통령 기록물을 중심으로’■ 일시▪장소 : 2012년 11월 13일(화) 오후 2시 국회 도서관 소회의실■ 발제자 및 토론자 □ 사회자 ○ 전진한(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소장) □ 발제자 ○ 곽건홍(한남대학교 기록관리학과 교수) ○ 조영삼(한신대학교 한국사학과 초빙강의 교수, 한국기록전문가협회 사무처장, 전 참여정부 대통령비서실 기록연구사) □ 토론자 ○ 임상경 (전 ..
2012.11.07 -
[아키비스트의 눈] 제2의 기록대통령을 희망합니다.
제2의 기록대통령을 희망합니다. 219노선버스 “대통령이 위험하다” 기자회견 자료를 보았습니다. 오마이뉴스를 통해서 보다 자세한 이야기도 들을 수 있었습니다. 불현듯 “기록대통령”이 그리워졌습니다. 늘 잊지 않게 일깨워주는(?) 분들이 고맙기도 합니다. 오늘까지 대선이 50일 남았습니다. 세 분의 유력한 후보들이 있습니다. S당의 후보는 얼마전 기록과 공개 분야의 공약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살짝 기대를 가지려고도 했지만, “기록”과 “공개”를 무기로 선거판을 다시 ABR의 전선에 가두려는 전략이 드러나고 말았습니다. 반면, M당과 무소속의 후보 경우는 딱히 관련한 공약이 알려진 바 없는 것 같습니다. 이상한 일입니다. 한 분은 기록대통령의 후계자라고도 하고, 다른 한 분은 IT분야의 대표주자라고도 하는..
2012.11.01 -
대통령기록이 위험하다!! 기록관리학계와 관련 시민단체 긴급토론회 및 기자회견을 진행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한국기록전문가협회 입니다.오늘 30일(화) 오전 10:00 ~ 12:00 아래와 같이 긴급토론회 및 기자회견을 개최하여기록관리학계 및 관련 시민단체의 입장을 표명하였습니다.오늘 긴급토론회 및 기자회견은 기록관리학계 및 관련 시민단체와 기자 약 50여명이 참석하여 진행되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대통령기록을 정쟁의 도구로 삼아서는 안 된다. (2) 대통령지정기 록제도는 기록을 잘 남기기 위한 제도이다. (3) 이명박 대통령기록의 철저한 이관이 필요하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확인 부탁드립니다.* 또한 긴급토론회 및 기자회견 영상은 정리되는 대로 협회 홈페이지에 게시하겠습니다.기록관리학계와 관련 시민단체 긴급토론회 및 기자회견“대통령기록이 위험하다”● 일시 : 2012년 1..
2012.10.30 -
[안내] "대통령기록이 위험하다!" 기록관리학계와 관련 시민단체 긴급토론회 및 기자회견 개최 안내!!
안녕하세요!! 한국기록전문가협회 입니다. 최근 새누리당 정문헌의원 발언이후 그 논란이 대통령기록의 공개 논란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논란을 바로잡고 기록관리계의 입장을 표명하고자 긴급토론회 및 기자회견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기록인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일시 : 2012년 10월 30일(화) 10:00 ~ 12:00 @ 장소 : 참여연대 느티나무홀 @ 진행 : 발제, 전체토론, 기자회견 @ 토론회 발제 1 - 대통령 기록관리 제도의 의미와 참여정부 대통령 기록의 이관 - 이영남(풀무학교 교사, 전 국가기록원 학예연구관) @ 토론회 발제 2 - 대통령기록과 관련한 현재의 쟁점사항 - 조영삼(한신대학교 초빙강의 교수, 전 참여정부 대통령 비서실 기록연구사) @ 전체토론..
2012.10.26 -
[아키비스트의 눈] 기록 논란
기록 논란 미르 또 “기록”이 정치 논란의 중심에 섰다. 2008년 ‘대통령기록물 유출 논란’을 시작으로 ‘민간인 불법사찰 기록의 불법 폐기’, ‘4대강 담합 문건 유출’ 등의 사건이 연이어 발생했다. 이번에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대통령기록의 폐기와 목록 삭제를 지시했다고 한다. ‘지정기록물’ 제도가 국민의 알권리를 침해한다며 대통령기록법을 개정해야한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연이은 논란과 사건 덕분에 국민들은 ‘기록관리’에 대해 많이 알게 되었다. 기록학 전공자에게도 쉽지 않은 전자기록의 진본·사본 개념, 기록의 폐기와 이관, 열람권한 등에 대해 국민들이 관심을 갖게 해 주었다. ‘기록관리 혁신’을 외치며 철저하게 기록하고 관리하고 남기고자 했던 시기에도 언론과 국민에게 이 정도로 큰 관심을 받지 못..
2012.10.26